귀가 먹먹해지는 이유와 관리 법

일상생활에서 갑자기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 즉 '이충만감'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흔한 증상입니다.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산에 오를 때 발생하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치부하기 쉽지만, 이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된다면 단순한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은 청력 저하나 중이염, 혹은 난청과 같은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귀 먹먹함이 발생하는 6가지 흔한 원인과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경을 쓴 여자가 옆 모습이 보이게 서 있다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

1. 귀지 축적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 중 가장 흔하고 일반적인 것은 귀지가 과도하게 쌓여 외이도를 막았기 때문입니다. 귀지는 원래 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면봉 등으로 자주 귀를 파면 오히려 귀지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뭉치면서 외이도를 완전히 막게 될 수 있습니다. 귀지가 외이도를 막으면 청력 감소와 함께 먹먹함이 느껴집니다.

2. 이관 기능 장애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는 코 뒤편과 귀를 연결하는 '이관(유스타키오관)'의 기능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관은 평소 닫혀 있다가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할 때 잠깐 열리며 귀 내부와 외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이관 기능에 장애가 생겨 닫혀 있어야 할 이관이 계속 열려 있거나(이관개방증), 잘 열려야 할 때 좁아져서 열리지 않는 경우(이관폐쇄증) 귀에 압박감이 생기며 먹먹함을 느낍니다.

3. 중이염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가 감기와 관련되어 있다면 중이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이염은 중이(고막 안쪽 공간)에 염증이 생기거나 물이 차는 질환으로, 특히 감기나 비염 등 상기도 감염 후에 자주 발생합니다. 염증으로 인해 중이 내에 액체가 고여 압력이 상승하면 귀가 막힌 듯한 먹먹함, 통증, 그리고 청력 저하를 유발합니다. 성인보다 유소아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지만, 성인도 면역력이 저하되면 급성 중이염이나 삼출성 중이염을 겪을 수 있습니다.

4. 알레르기 및 비염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 중 코 관련 질환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이나 만성 축농증이 심할 경우, 코와 연결된 이관 주변에 염증이나 부종이 생겨 이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됩니다. 콧물이나 농이 이관 입구를 가로막아 이관 폐쇄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코 주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이관을 통해 귀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먹먹한 느낌이 발생합니다.

5. 턱관절 문제 (TMJ 장애)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가 귀 자체의 문제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턱관절은 귀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으며,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면(측두하악관절 장애, TMJ) 관절 주변의 근육과 신경이 귀 쪽으로 압박을 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귀막힘이나 압박감이 느껴지며, 심한 경우 턱을 움직일 때 '딸깍' 하는 소리나 통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특히 턱관절 주변 근육의 긴장은 이관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 돌발성 난청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가 갑자기 한쪽 귀에만 발생하고 청력의 변화를 동반한다면 '돌발성 난청'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돌발성 난청은 이름 그대로 갑자기 발생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귀가 막힌 듯한 먹먹함과 함께 이명(귀울림), 청력 저하를 동반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자칫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인 청력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 기술 및 정책 정보)

안압이 높아지는 이유 알아보기

지금까지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 6가지와 그에 따른 대처 방안을 알아보았습니다. 귀 막힘(이충만감)은 단순한 불편함으로 여길 수도 있지만, 돌발성 난청이나 중이염 등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의 주요 증상일 수 있습니다. 만약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를 자가 판단하기 어렵거나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찰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청력 건강을 지키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다음 이전